본문 바로가기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녹내장

전방각 구조물 : 섬유주 소대와 쉬발베선(슈발베선)

by 아그점빵 2022. 4. 23.
반응형

이전 포스팅을 통해서 전방각에서 관찰되는

 

정상적인 해부학적인 구조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으로 순서대로

 

  • 홍채뿌리
  • 섬모체띠
  • 공막돌기
  • 섬유주소대
  • 쉬발베선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방각의 구조 와 섬유주 소대 Trabecular Meshwork TM

 

 

<섬유주소대 Trabecular meshwork, TM>

 

섬유주소대(trabecular meshwork , TM)

 

전반부의 비여과부 섬유주

 

후반부의 여과부 섬유주로 나뉩니다.

 

전반부 및 후반부 섬유주

 

 

이때 여과부 섬유주에는 포도막에서 유래한 색소들이 침착되어 있기에

 

색소를 통해서 섬유주의 위치를, 특히 그중에서도 여과에 직접 관여를 하는

 

여과부 섬유주의 위치를 찾는데 도움이 됩니다.

 

전반부의 색소가 없는 비여과부 섬유주    후반부의 색소를 띠는 여과부섬유주

 

 

   

 

 

색소가 없는 경우에는 섬유주 전체가 투명하게 보이기 때문에,

 

그 위치를 찾는데는 섬유주소대 너머에 존재하는 쉴렘관을 통해서 파악할수 있습니다.

 

섬유주 TM 너머에 있는 조직 슐렘관 Schlemm canal SC

 

눈을 압박하면 상공맥정맥압이 높아져 혈류가 역류하면서,

 

혈액으로 차있는 쉴렘관이 빨간색띠로 보이게되는데, 이부분이 여과부 섬유주가 위치하는 부위입니다.

 

쉴렘관 내부의 혈액이 보임 : 여과부 섬유주가 위치하는곳

 

 

섬유주소대의 색소는 어릴때는 없지만 나이가 들면서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 나이에 따라서 증가하며,

 

  • 색소분산증후군 Pigmentary dispersion syndrome, PDS
  • 색소녹내장 Pigmentary dispersion glaucoma, PDG
  • 거짓비늘증후군 Pseudoexfoliation syndrome, PXS
  • 포도막염, uveitis
  • 외상후 Post trauma
  • 레이저 홍채절개술, Laser iridotomy
  • 백내장 수술후
  • 포도막 흑생종

이런 다양한 상황에서 증가될 수 있습니다.

 

섬유주색소띠의 단계

 

 

<쉬발베선, 슈발베선, Schwalbe’s line, SL, Schwalbe ring, SR>

 

쉬발베선은 전방각의 가장 높은 부위로 투명한 각막이 끝나는 곳에 있는 선으로

 

희고 불투명한 부분입니다.

 

쉬발베선, 슈발베선, Schwalbe line

 

 

쉬발베선이 중요한 이유는 Goniotomy (전방각 절개술)을 시행할때

쉬발베선 바로뒤에서 절개를 시행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쉬발베선은 15%에서 정상적으로 대단히 두드러져보이고,

나머지 85%에서는 관찰이 힘들수도 있습니다.

 

이때 육면체단면검사(parallelopiped method)를 통해 관찰하면 도움이 됩니다

 

1 Iris root 2 Ciliary body 3 Scleral spur 4 Trabecular meshwork 5 Schwalbe line

 

세극등 빛을 좁게하고 렌즈를 통해 전방각에 10~15도로 조명을 가하면

 

각막은 투명한 광학절편이 육면체 단면으로보이는데,

 

쉬발베선은 빛이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되므로 육면체 단면은 짜부러져 없어지게됩니다.

 

육면체 단면검사에서 육면체 빛이 없어지는곳

 

 

쉬발베선은 전방각에서 선반과 같은 역할을 하는데,

 

간혹 이위에 색소가 쌓여서 색소띠를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Sampaolesi line이라고하는데, 거친 입자로 후추 소금처럼 보이며,

 

중간 중간에 끊어진 색소선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Sampaolesi line

 

Sampaolesi line

 

 

 

지금까지

 

전방각 구조물 : 섬유주 소대와 쉬발베선(슈발베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