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전층각막 이식 초기합병증 : 각막 이식 실패, Hurricane keratitis, Kaye dots, 데스메막 박리, 맥락막 박리

by 아그점빵 2018. 5. 9.
반응형

앞선 포스팅에 이어서..


전층각막이식 (PKP, Penetrating keratoplasty) 이후


초기에 발생할수 있는 합병증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창상누출, wound leakage

  2. 동공차단 및 홍채유착 형성

  3. 창상 부위 각막 침윤

  4. 상피 재생 실패

  5. 원발성 이식 실패, 이식편 생착 실패

  6. Hurricane keratitis

  7. Kaye dots

  8. 데스메막 박리

  9. 맥락막 박리

이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앞의 4가지 내용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안과 질환과 안과 치료/각막 외안부] - 각막 이식 수술 이후 초기 합병증, 부작용 : 창상누출, 동공차단, 홍채유착, 봉합 부위 침윤, 지속각막상피결손



5. 원발성 이식편 실패, Primary graft failure 


각막이식 실패 (Corneal graft failure)는..


각막이식 수술 이후, 각막 이식편이 제대로 생착되지 못하고 제기능을 못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특히, 각막내피세포의 기능이상으로, 각막 부종이 회복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남아있어서, 결국 각막 혼탁이 발생하여..


각막이식 수술으로 얻으려고 하였던, 각막의 광학적 깨끗함 자체를 얻지 못한..


수술의 결과적 실패라고 이야기할수 있습니다.



   


각막 이식 실패는 발생 시기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나뉘는데..


수술 3주 이내에 발생하는 각막이식실패는  원발성 각막이식실패(Primary graft failure) 라고 하며,


수술 3주 이후에 발생하는 각막이식실패는  거부반응 (rejection reaction)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원발성 각막이식실패는...

  1. 원발성 이식편 실패

  2. Primary graft failure

  3. Primary donor failure

  4. 이식편 생착 실패

이러한 다양한 용어로 이야기되는데..


수술 직후부터 각막 부종이 회복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남는 것을 의미합니다.


원발성 이식편 실패, Primary graft failure 원발성 이식편 실패, Primary graft failure



정상적으로도, 수술직후에는 수술자체로 인한 염증으로, 각막에 염증성 부종이 발생할수 있으나, 


스테로이드 안약 치료를 하면서 경과관찰하면  염증이 호전되면서, 각막의 부종도 사라지게 됩니다.



반면, 이식 실패의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안약 치료에도 불구하고, 각막 부종이 호전 없이 지속되는 것입니다.


기증각막(donor cornea)을 채취하는 과정이나, 이를 관리, 보존하는 과정에서, 이식편의 내피세포가 손상받거나..


혹은 기증각막의 내피세포가 원래부터 좋지 않았던 경우, 


혹은 수술과정에서 기증각막에 과도한 조작이 가해지면서 내피세포의 손상이 과하게 일어난 경우 발생하게 됩니다.


각막 이식 수술 이식편 생착 실패각막 이식 수술 이식편 생착 실패



일반적으로 염증치료를 하면서 최소 3주 가까이 지켜보는데..  


호전이 없는 경우,  결국은 각막이식수술을 다시해야 합니다.




6. 허리케인 각막염, 허리케인 각막병증, hurricane keratitis, hurricane keratopathy,


허리케인 각막염은.. 문자그대로  소용돌이 모습을 보이는 


각막병증, 각막염을 의미합니다.


허리케인 각막염, hurricane keratitis허리케인 각막염, hurricane keratitis



90%의 소용돌이는 우측으로 회전하는 모양으로나타나는데...  


각막이식수술이후, 각막 상피가 회복되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수술이후 사용하는 약제의 독성 때문에 발생하기도 하며, 


각막상피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상피 회복이 나선형으로 미끄러지듯이(sliding)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허리케인 각막병증, hurricane keratopathy,허리케인 각막병증, hurricane keratopathy,



안약 사용을 중단하고, 보존제가 들어있지 않은 인공눈물을 점안함으로써 치료할수 있으며..


주변부에서부터 서서히 사라지면서 중심부병변이 최종적으로 사라지게 됩니다.



 


7. Kaye dots, Kaye's Dot


Kaye dot 이란... 각막 이식이후, 이식각막쪽에 발생하는 봉합사 부근에 발생하는 작은 점입니다.


봉합사부분에서부터 1mm ~ 2 mm 가량 중심부 쪽에 발생하는  각막 상피층의 점으로..


형광염색이 되거나, 상피가 손상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Kaye dots,Kaye dots,



이는 각막 거부반응이나, 감염과도 모두 관계 없으며, 약물의 독성과도 관련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확한 발생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어떠한 약물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습니다.



보통 수술후 6주 이후에 발생하게되는데, 빠른 경우 수술이후 1주 ~ 2주 이내에도 발생하게 됩니다.


Kaye's Dot 확대 사진Kaye's Dot 확대 사진



나중에 봉합사를 제거하게 되면, 하얀 점들이 각막 중심부쪽으로 이동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봉합사 제거이후 30일 정도에 걸쳐 서서히 사라집니다.




8. 데스메막 박리


수술과정에서의 잘못된 조작으로 인해 데스메막 박리가 발생하게되면...


데스메막 박리가 발생한 부분에는 지속적으로 각막 부종이 발생하게 됩니다.


각막이식 수술이후 발견된 데스메막 박리와, 그 치료각막이식 수술이후 발견된 데스메막 박리와, 그 치료



전방내에 공기 주입이나, 가스주입으로 치료할수 있습니다



   


9. 맥락막 박리, choroidal detachment


수술이후 전방의 깊이가 얕은 경우, 반드시 맥락막 박리 여부를 감별진단하여야 합니다.


맥락막박리는.. 안과적인 안내 수술 이후 간혹 발생할수 있는 합병증으로, 


각막이식과 같이  수술과정에서 안구의 형태가 유지되지 않는 수술에서 쉽게 발생할수 있습니다.



대개 수술당시에 안구가 형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함몰이 되었던 경우나..


수술이후 지속적인 저안압 상태에 있는 경우,  맥락박 박리가 생길수 있습니다.


맥락막 박리 안저 사진맥락막 박리 안저 사진



초음파나 안저 검사를 통하여 확인할수 있으며..


각막이식 수술이후 맥락막박리 초음파각막이식 수술이후 맥락막박리 초음파



수일간 관찰하면서 지켜보는데..


호전이 없거나, 얕은 전방의 깊이로 인해 이차성 녹내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수술적 배액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전층각막 이식 초기합병증 : 각막 이식 실패, Hurricane keratitis, Kaye dots, 데스메막 박리, 맥락막 박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1. 각막 이식술의 적응증, 각막이식수술의 목적, 수술전 준비, 종류, 분류

  2. 각막 이식 수술의 수술방법, 수술 과정 - 안구형태 유지 와 수여각막의 절제

  3. 전층 각막 이식 수술 방법 - 공여각막의 절제와 각막 봉합

  4. 각막 이식 수술이후의 처치와 관리, 실밥 푸는 시기

  5. 각막 이식 수술 이후 초기 합병증, 부작용 : 창상누출, 동공차단, 홍채유착, 봉합 부위 침윤, 지속각막상피결손

  6. 전층각막 이식 초기합병증 : 각막 이식 실패, Hurricane keratitis, Kaye dots, 데스메막 박리, 맥락막 박리

  7. 각막 전층 이식의 후기 합병증 : 봉합사 노출, 봉합사 농양, 세균감염, 안내염

  8. 각막 이식의 후기 합병증 : 상피눈속증식(epithelial ingrowth, epithelial downgrowth), 섬유안내증식(fibrous ingrowth)

  9. 각막 이식 수술(penetrating keratoplasty, PKP)과 녹내장(glaucoma)

  10. 전층 각막 이식 수술과 각막 난시의 발생, 난시 조절

  11. 각막 이식과 이식 거부반응 (graft rejection reaction)

  12. 각막이식 면역 거부반응의 치료, 위험인자, 고위험군에서 주의할점

  13. 단순포진 바이러스 (herpes simplex virus, HSV)와 전층 각막이식술 (PKP, corneal transplantation)

  14. 소아 각막 이식 수술, 젊은 연령에서의 각막이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