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기 특발성 관절염(JIA) 치료약 치료단계 DMARDS, bDMARDS, TNF alpha 길항제
JIA(Juvenile Idiopathic Arthritis)는 소아에게 발생하는 대표적인 자가면역성 관절염으로, 과거에는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JRA), 소아기 만성 관절염(JCA)으로 불렸으나 현재는 모두 통합되어 JIA라는 용어로 통일되었습니다. 15세 이하 소아에게서 6주 이상 지속되는 관절염이 한 개 이상의 관절에서 관찰될 때 진단내려지며, 소수 관절형, 다수 관절형, 전신형 등 다양한 임상 양상 존재합니다. JIA의 치료는 질병의 활성도, 아형, 예후 인자 유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단계적으로 접근합니다. 1차치료는 NSAIDs: 비스테로이드 항소염제입니다. 이는 관절의 염증 감소 및 통증 조절에 도움이 되고, 염증 심할 때는 직접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를 시행하기도 하빈다. 단, 예후..
2025. 7. 22.
전신형 소아기특발성 관절염, systemic JIA, 스틸씨병, 스틸병 & 다수관절형 Polyarthritis, polyarticular JIA
소아기 특발성 관절염(JIA)은 다양한 임상 형태를 가진 자가면역성 관절염으로, 특히 전신형(Systemic type)과 다수관절형(Polyarticular type)은 전신 증상, 심한 염증, 예후 다양성이 두드러지는 유형입니다. 전신형 JIA (Systemic type, Still disease)은, 흔히 STILL 병이라고 알려져 있는 질환으로, 성인에서 나타나는 성인 스틸병의 소아형태라고보면 됩니다. 이는 George Frederic Still 에 의해서 처음 기술되어 스틸씨 병, 스틸 병이라고 알려졌습니다. Systemic Type of Idiopathic Juvenile Arteritis 혹은 STILL 의 앞글자를 따서 Spiking Fever Transient Rash Infla..
2025. 7. 21.
감염성 공막염의 특수 형태 – 헤르페스 공막염 & 결핵 공막염
감염성 공막염 중에서도 HSV, VZV, 결핵균에 의한 공막염은 흔하지 않지만, 비전형적인 양상과 심각한 조직 손상을 동반할 수 있어 주의 깊은 진단과 치료가 요구됩니다. 특히 스테로이드의 사용 여부에 따라 예후가 극단적으로 달라질 수 있는 대표적 질환입니다. 헤르페스 공막염 (Herpetic Scleritis)은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HSV (Herpes Simplex Virus)와 VZV (Varicella-Zoster Virus)에 의해서 발생할수 있습니다. 두가지 모두 흔하지는 않지만, 보통, 대상포진에 의한 경우가 좀더 흔합니다. HSV 와 VZV 모두 컨디션 저하, 노화, 국소면역 저하로 인해, HSV 트리거로 HSV가 재활성화 되었을때 결절성 공막염으로 나타나게되며, 대상포진 이..
2025. 7. 20.